2025년 대한민국 정부가
상속세 개편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현재까지 상속세는
75년간 유산세 방식으로 과세되어 왔는데,
이번 개편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유산세와 유산취득세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 유산세란?
유산세(遺産稅, Estate Tax)는
피상속인이 남긴 전체 재산(유산)에 대해
한 번 과세한 후,
상속인들이 유산을 나누는 방식입니다.
즉, 상속 재산 총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며,
상속인 수와는 무관합니다.
유산세 특징
-피상속인의 전체 유산에 대해
단일 세율로 과세
-고액 자산가에게 부담이 큼
(상속 재산이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짐)
-상속인들이 여러 명이어도
상속세 부담은 동일
-현행 대한민국 상속세 체계(2025년 개편 전)가
유산세 방식
유산세 장점 & 단점
* 장점
- 부유층에 대한 강한 과세로
소득 재분배 효과
- 과세 구조가 단순해 세금 계산이 쉬움
* 단점
- 상속세 부담이 과중하여
기업 경영권 승계 등 문제 발생
- 상속인 수와 관계없이 세금이 결정되므로
공평하지 않을 수 있음
2. 유산취득세란?
유산취득세(遺産取得稅, Inheritance Tax)는
상속인이 각자 받은 재산의 금액을 기준으로
개별 과세하는 방식입니다.
즉, 유산 전체가 아니라
상속인이 취득한 몫에 따라 세금이 부과됩니다.
유산취득세 특징
- 각 상속인의 취득액에 따라 개별 세율 적용
- 상속인이 많으면 1인당 부담이 줄어듦
- 외국(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서 주로 채택하는 방식
유산취득세 장점 & 단점
*장점
- 상속인이 많을수록
개별 부담이 줄어 세 부담이 공평
- 기업 경영권 승계 문제 완화
(경영권 상속 시 부담이 줄어듦)
* 단점
- 상속인 간
세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형평성 논란
- 부유층 세 부담 완화로 인해
부의 집중 가능성
3. 대한민국 상속세 개편 방향은?
현재 대한민국 정부는
유산취득세 도입을 적극 검토 중입니다.
주요 이유는 기업 승계 부담 완화와
상속인의 세 부담 공정화입니다.
특히 가업 승계를 원하는
중소·중견기업들이 상속세 부담으로
기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유산취득세 전환 시
기업의 지속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핵심 포인트 정리
- 유산세 → 상속 재산 전체 기준 (현행 대한민국 방식)
- 유산취득세 → 상속인이 받은 재산 기준 (변경 가능성 있음)
- 기업 승계 부담 완화 및 형평성 논란이 주요 쟁점
대한민국 상속세 개편 방향에 따라
부의 대물림에 대한 과세 체계가 큰 변화를 맞이할 전망입니다.
유산취득세 방식이 도입되면
상속인의 개별 세 부담이 조정될 가능성이 커지지만,
형평성 논란도 예상됩니다.
앞으로 정부의 최종 발표에 따라,
상속 계획을 세울 때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LIVE_economy >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축통화국이란? 기축통화의 의미와 주요 국가 정리 (2) | 2025.03.25 |
---|---|
대한민국 국민연금 개혁안: 더 내고 더 받는다? 18년 만의 변화 총정리 (1) | 2025.03.25 |
상속세와 증여세, 미리 알아두면 좋아요 (2) | 2025.03.12 |
청년주택드림대출 완벽 정리! 청년이라면 놓치지 마세요 (3) | 2025.03.07 |
피시플레이션(Fishflation)이란? 요즘 뜨는 경제 이슈 완벽 정리! (0) | 2025.03.06 |